Tumgik
#욕망
handyup · 6 months
Text
아내가 얘들을 모두 데리고 준희 친구네 집에 놀러가는 바람에 느닷없이 프리한 혼자만의 오후 시간이 생겼다. 근처 사는 친구에게 점심이나 같이 먹을까 했지만 연락이 없었지만, 나도 굳이 뭐 밖에서 누군가를 만나서 시간을 보내야 겠다는 생각은 없었던 터라 그리 아쉬울 것도 없었다. 혼자서 영화나 볼까 했지만 천편일률적인 개봉영화 중에 내 취향에 맞는 영화도 없었고 말이다.
Tumblr media
도서관에서 빌린 아이들 책을 가져다주고 새로운 책을 빌리고 저녁에 뭐 맛있는거나 해 먹을까 싶어서 차를 몰고 백화점에 갔는데 아뿔싸 갑자기 추워진 날씨 덕분인지 인산인해다. 그래도 챙겨야 되는 사람이나 보채는 사람 없이 오랫만에 느긋하게 물건 구경이나 할까 했지만, 귀찮다. 그냥 유니클로 들어가서 비니나 한번 써보고 나왔다. 슈퍼에서도 딱히 사고 싶은 물건은 없고, 그나마 생각난 식재료는 백화점에 물건이 없고. 여기저기 기웃기웃 거리다가 겨우겨우 무료주차 금액만 맞춰서 장보기를 끝냈다. 커피라도 한 잔 사갈까 했지만 주문 대기 줄만 한가득이라 커피는 백화점 밖에서 사기로 일찌감치 포기하고 나왔다.
Tumblr media
그래도 엊그제 인터넷으로 산 원래는 20만원 후반대이지만 폭탄 세일 덕분에 8만원에 산 운동화가 발도 편하고 쉐입도 마음에 들어서 그거 하나 건졌다. 그러고보면 얼마전까지 인터넷 쇼핑몰에 장바구니를 가득 채웠다 비웠다가 하는 걸로 며칠을 보냈었는데... 물론 나이를 먹은 영향도 있긴 하겠지만, 세계를 돌리는 가장 기본적인 원동력인 인간의 욕망마저도 리얼월드보단 인터넷 가상세계 안에서 더 잘 작동되고 있는 세상으로 변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잠깐 들었다.
Tumblr media
5 notes · View notes
only-love-u · 4 days
Text
텀블은 욕망의 낙서장이다.
서로의 욕망을 끄적이는 그런...
난 욕망이 담긴 언어를 뱉어내고
또 그것들을 갈구한다...
0 notes
kimtaku · 8 months
Text
Tumblr media
욕망과 본능
0 notes
chokoffes · 1 year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예술의 욕망
649 notes · View notes
blu-mental · 4 months
Text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풀들과 작별, A가 좋은 인간이라 돌봄을 성실히 해주길
Tumblr media
별개로 이비인후과에서 알레르기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붸리 풜스트타임) 왠걸. 피부가 예민한건 알았는데요 테스트한 열개중 여덟개 당첨. 내용물은 개털, 고양이털, 집먼지에 사는 미생물, 호밀씨, 노란꽃씨 등등..인공적으로 잘 다듬어져 청정쾌적한 곳에서 어서 살고싶은 욕망 상승. 자연은 잔인해
Tumblr media
그래도 유제품이나 굴루텐 알레르기는 없어서 괜찮아.
8 notes · View notes
blacktoon2024 · 3 months
Text
19금 성인 만화사이트 추천
19금 성인 만화사이트 추천 보는법 공유 합니다.
19금만화 사이트: https://m.facebook.com/media/set/?set=a.122113108652237878&type=3 야한 성인만화 보는곳 링크: https://twitter.com/blacktoon2024/status/1770023565406200216 만화 밴드: https://band.us/band/94309924/post/2
위에 가셔서 보시면 됩니다.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19금 성인 만화사이트 추천 현대 도시의 비밀 클럽
소개
"현대 도시의 비밀 클럽"은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곳인 클럽을 배경으로 한 성인만화입니다. 이 클럽은 보통 사회적 이슈나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는 곳으로, 주인공들의 열정과 욕망, 성적인 모험을 그립니다. 현대 도시 생활의 복잡성과 유혹, 그리고 인간관계의 다양성을 담은 이 만화는 성인 독자들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합니다.
줄거리
이 만화의 주인공은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로 구성된 비밀 클럽의 회원들입니다. 클럽은 비밀스럽게 운영되며, 사람들은 주로 심리적인 이슈나 성적인 경험을 나누는 곳으로 이용합니다. 주인공은 클럽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며 자신의 욕망과 성적인 모험을 즐깁니다.
주인공 중 한 명은 현대 도시의 스케이트보드 예술가로, 무한한 창의력과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클럽에서 자신의 작품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새로운 영감을 얻습니다. 어느 날, 그는 클럽에서 만난 미스터리한 여성에게 이끌려 새로운 성적인 경험을 시작하게 됩니다. 이 여성은 그의 예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표현하며 그의 창의성을 자극합니다.
또 다른 주인공은 회사에서 고된 일상에 지친 직장인입니다. 그는 클럽에서 다른 회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자극을 찾습니다. 어느 날, 그는 클럽에서 만난 섹시한 남성과의 로맨스를 시작하게 됩니다. 이 남성은 그에게 새로운 욕망과 성적인 경험을 선사하며 일상을 잊게 합니다.
클럽의 다른 회원들도 각자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성적인 모험을 추구하거나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클럽을 찾습니다. 현대 도시의 다양한 인물들이 모여 이야기하는 곳이기 때문에, 다양한 인간관계와 성적인 경험이 그려집니다.
그러나 클럽은 그들에게만의 비밀스러운 공간일 뿐, 현실에서는 각자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들의 이야기는 성장과 변화, 그리고 성적인 욕망을 탐구하며 삶의 다양성을 표현합니다. 클럽에서 만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그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19금 성인 만화사이트 추천 주제와 메시지
"현대 도시의 비밀 클럽"은 현대 도시 생활의 복잡성과 유혹, 그리고 인간관계의 다양성을 담은 성인만화입니다. 이 만화는 사회적 이슈와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면서도 주인공들의 욕망과 성적인 모험을 그립니다.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성장과 변화, 그리고 성적인 욕망을 탐구하는 여정을 그려냅니다.
19금 성인 만화사이트 추천 결론
19금 성인 만화사이트 추천 "현대 도시의 비밀 클럽"은 현대 도시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담은 성인만화로, 성장과 변화, 그리고 성적인 욕망을 탐구하는 여정을 그립니다. 주인공들의 다양한 성적인 모험을 통해 사회적 이슈와 현실적인 문제를 탐구하면서, 현대 도시 생활의 복잡성과 유혹을 그립니다. "현대 도시의 비밀 클럽"은 성인 독자들에게 다양한 즐거움과 고민을 제공하는 만화입니다.
2 notes · View notes
frjabc1234 · 1 year
Text
대구, 경산 임신부, 아이맘, 유부, 리턴 35이상~~ 감춰왔던 욕망 풀어보고 싶으시면
라인 frjabc12 연락 주세요
욕플, 딜도플, 노예플, 패티쉬, 욕망 분출
100% 비밀보장
9 notes · View notes
handyup · 1 year
Text
준희가 요즘들어 자주 물어보는 것 중 하나는
아빠, 아빠는 3000억이 생기면 뭘 하고 싶어?
같은 나도 어릴 적부터 최근까지 질문의 세부적인 형태만 달리할 뿐 계속 해왔던 망상과도 같은 질문인데, 요즘 들어선 뭐 그렇게까지 큰 돈이 필요한가 싶어서
아빤 아빠가 꼭 필요한 것만 산다음에 나머지는 준희 줄께
라고 대답하곤 한다.
그리고 가만히 생각해보니, 새로운 무언가를 더 이상 욕망하지도 상상하지도 않는다는 건 내가 늙었다는 부정할 수 없는 증거인 것 같아서 슬프기까지 한 것은 아니지만 씁쓸하다.
Tumblr media
7 notes · View notes
mwuq · 2 years
Text
홀로있던 며칠 동안이 내게 해독의 시간과도 같았다. 숱한 외로움에 흔들어 놓았던 감정들도 며칠 간은 잠잠했다. 현실에 부딪혀보니 별 수 없었겠지.
그날 밤, 내가 목격한 그것은 욕망만 남은 인간이 얼마나 추악할 수 밖에 없는지 깨닫게 했다. 수년을 보고도 나는 왜 지금에서야 그것을 깨달았는가. 인간을 생각하는 동물이라고 했던가? 인간이 동물과 다르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한지 뼈저리게 느꼈다. 나 또한 그 구렁텅이에 함께 뒹굴었던 존재였음을, 눈과 귀가 멀어버린 내 자신과 찰나 목격했던 모든 것에 염증을, 구역질이 나버렸다.
결론을 냈다. 아니 결론이 났다. 이리 마음이 돌아설 줄은 몰랐다. 지난 시간에 대한 후회는 없다. 역시 경험해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것들이다. 물론 선을 넘기 전에 알았더라면, 선악과를 따먹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을. 하지만 넘어보지 않고는, 먹어보지 않고서는 지금의 결론을 도출 할 수 없었을 거다.
어린 아이의 순수함 아니 호기심이라고 해야 할까? 그것을 이용한 악한 어른의 욕망, 마치 그것이 사랑이라고 착각해서 여기저기 기웃거렸던, 채울 수 없는 공허함과 외로움을 채우려 했던 가여움. 애써 감추기 위해 생겨버린 날섬의 예민함. 그 모든 것이 차곡 채워진 오늘.
답은 여기도 저기도 없다. 굳이 답을 찾아야 하는가에 대한 물음이 찾아왔다. 나는 아직도 살아온 삶에 대해 누군가의 답안지를 모델 삼아 채점을 매기고 있는 것일까. 나는 종종 악몽을 꾼다. 남들은 재입대하는 꿈은 꾼다 하지만 나는 매번 얼마남지 않은 수능시험을 앞둔 수험생으로 돌아간다. 아무 것도 준비 되어있지 않은 상황들이 꿈 속까지 따라다니며 조급하고 두렵게 만든다.
일단 답을 찾는 것을 포기했다. 여기도 저기도 아니다.
잠시 쉬어야겠다.
35 notes · View notes
Text
뉴베가스가 씹오타쿠겜인이유는아무래도. .
베가스라는 환락의 도시에 집착한 인물들이 저마다의 욕망 때문에 파멸하거나 번영하는데..한정판에디션에 동봉된 물건은 그들의 모습이 그려진 포커카드임
오타쿠뽕이안찰수가없음..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Tumblr media
10 notes · View notes
f-ngrl · 1 year
Text
아직도 난 몰라 [I still don’t know] 미안해 우린 몰라 [Sorry, we don’t know] 아직도 날 몰라 [I still don’t know myself] Let me know God, Let me know God 어디로 난 어디로 우린 어디로 [Where (am) I (going), where (are) we (going), where] Let me know God
Bewhy & Son Simba in 어디로 (Let me know, God)
오 그래도 아직 나는 몰라 [Oh, but still I don’t know] 알아도 이 지옥에 자꾸 속아 [Even if I know, I’ll keep getting fooled in this hell] 오 아마 난 천국에는 못 가 [Oh, maybe I can’t go to heaven] 어디로 난 어디로 가 [Where, where am I going] 언젠가부터 날 지배하는 욕망 [For some time I’ve been controlled by desires] 마지막엔 결국 나는 그걸 쫓아 [In the end, I’ll eventually chase them] 헤매어 볼게 이미 빠진 미로 안 [I'll wander in the maze that I've already fallen into] 어디로 난 어디로 가 [Where, where am I going]
Jvcki Wai in 어디로 (Let me know, God)
어디로 가는지 몰라 Just swervin' [I don’t know where I’m going, just swervin’] 어디로 가는지 몰라 저 멀리에 [I don’t know where I’m going, far away] 날아가서 구름 밟아 나는 발자국을 남겨 [Flying and walking over clouds, I leave my footprints] Cuz I don’t see you anymore (anymore)
Haon & Sik-K in 붕붕 (Boong-boong)
12 notes · View notes
zentopiabooks-blog · 9 months
Text
Tumblr media
창조적이고 지성을 갖춘 사람은 권력을 추구하지 않는다. 지성이 있는 사람은 타인을 정복하는 데 관심이 없다. 그의 최우선 관심사는 자신을 아는 것이다. 그래서 가장 높은 지성을 가진 사람은 신비주의를 향해 나아가고, 가장 평범한 이류, 삼류의 인간들은 권력을 쫓는다. 그 권력은 세속적이고 정치적인 목적을 향한다. 돈이 될 수도 있고, 수많은 사람들에 대한 영적인 장악력일 수도 있지만, 가장 근본적인 충동은 더 많은 사람들을 정복하는 데 있다.
그대가 자신에 대해 알지 못할 때, 그리고 그대가 자신에 대해 알지 못한다는 것을 알고 싶지 않을 때 이러한 충동이 일어난다. 그대는 자기 내면의 가장 중심에 퍼져 있는 무지에 대해 알게 되는 것을 두려워한다. 돈에 대한 욕망, 권력에 대한 욕망, 존경과 명예에 대한 욕망을 통해서 자신의 이런 어두운 내면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 그리고 자기 내면에 암흑이 드리운 사람은 파괴적인 일이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게 된다.
그런 사람에게는 창조성이 존재할 수 없다. 창조성은 그대 자신의 의식과 자각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빛과 사랑과 창조성은 타인을 정복하는 것에 전혀 관심이 없다. 왜 그래야만 하는가? 타인은 타인이다. 그대는 타인을 정복하고 싶지도 않고 타인에 의해 정복되고 싶지도 않다. 조금만 더 주의를 기울이면 진정한 자유를 맛볼 수 있다.
오쇼의 <권력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2 notes · View notes
eunload · 6 months
Text
그 남자와의 대화 3
Tumblr media
: 글이 너무 좋습니다. 이런얘기 많이 들으시겠지만.
: 안녕하세요.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유해주시는 것들 잘 보고 있답니다.
: 부잡스런 계정인걸요. 무튼 글이 좋다고 꼭 얘기하고 싶었습니다. 텀블러도 꼼꼼히 다 읽었습니다. 그 곳 시간을 몰라서.. 따뜻한 밤 되세요. 님의 글처럼 세심하진 않지만 봐주신다니 기쁩니다.
: 텀블러도 보셨군요. 부끄럽네요. 네, 욕망 가득해서 좋던데요.
: 글을 읽는건 텀블러에서 보는게 좋지만 여기는 그때그때 님의 기분이나 공기가 묻어나서 다른 맛이 있어요. 글맛이 있는 사람은 귀한사람입니다.
: 디테일한 칭찬 감사드려요. 저도 단순히 좋다 보다 이런식으로 들으면 더 좋더라구요.
: 텀블러는 출간전 초고라면 여기는 일기장처럼 그때그때 써주시니까요. 살맛을 아는 분이라 글맛도 있으신거라 믿습니다. 10년후쯤엔 더 예쁘고 멋있어지실거같네요. 와인의 빈티지처럼. 상황이나 조건이 아니더라도 누굴 쉬이 만나거나 가벼운관계를 만들진 않으실 분이라 느껴져서요.
: 와인의 빈티지처럼. 좋은 말이네요. 맞아요. 누군가를 쉬이 만날 강심장도 아니라서요.
: 강심장이 아니라 본인맘에 흡족치 않으면 안되는거라고 생각하는데요 ㅎㅎ 외모든 성정이든.
: 저를 정신적으로 완전히홀릴 사람이 필요해요. 외적인 걸 넘어서요.
: 그런사람에겐 맘속뼛속 다 깔리고 지배당하실분이라 느껴집니다. 여기서 사람들이 말하는 주인 이런거말구요.
: 맞아요. 주인이 필요한건 아니에요. 그나저나 피드가 야하기만 해서 별생각 없었는데 얘기해보니까 다르네요. 말을 조곤조곤하게 해주셔서.
: 말은 조곤조곤하지만 결은 좀 거칠은지라 조심하고 있습니다.
: 누구나 섹스할때는 어떻게 변할지 모르는법이죠.
: 글이 좋아요 북회귀선처럼.
: 어떤 한 장면이나 순간에 사로잡혀서, 그걸 그려내서 그런가봐요.
: 경험의 차이는 있겠지만 그 장면들을 찍어내듯 서사하는건 님의 필력이니. 앳된 얼굴과 글솜씨가 잘 매치되지 않지만 글과 외모가 각각의 매력으로 투영되니 참 좋습니다.
: 외모가 생각했던 것과 다르다고 하긴 하더라구요. 놀라시는 분 반.
: 꽤 농익은 분일거라 생각했지만 그것또한 선입견이니 반성합니다. 마음에 드시는게 있다면 기쁩니다. 저는 진하고 상스러운걸 좋아해서 취향이 그렇습니다. 아닌척하기엔 이미 너무 올려서.
: 농익은거라면 나이면에서요?
: 아니요, 글에서요.
: 아닌척하기엔 이미 너무 늦었어요. 네, 맘에 드는게 많아요. 취향이 맞아서 좋아요.
: 진짜 사랑받고 속정까지 다 맛본 사람이라고 느껴지니까요. 귀하고 사랑받기 매력이 넘치는 분이니 꼭 좋은 인연들로 가득하실거라 믿습니다.
: 그 사랑과 속정을 잊지못해 자꾸 되뇌이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 속정은 못잊습니다 적어도 제 주관엔.. 더한 사람이 잊게 해주지 않는 한. 곱씹고 욕망하는 여자는 사랑스럽습니다. 사랑받고 싶은 욕구라고 믿어요. 언제고 한국에 오시면 식사를 대접하고 싶습니다. 팬심이라고해도 좋고 무튼. 바쁘고 약속이 많겠지만.. 귀한 시간이니 근사한 식사로 모시고 싶습니다.
: 좋아요. 기억할게요.
: [ 대음순을 활짝 열어 핥으면서 다은이는 살맛이 좋네, 하고 말을 걸어줬음 좋겠다. 나에게 끊임없이 말을 걸어오는 그 혀. 그 혀끝이 클리토리스에 닿아 쓸어올려질 때 발끝부터 달아올라가 뜨거워지고 싶다. 그 한마디한마디에 몸서리치게 부끄러워서, 눈을 질끈 감았으면 좋겠다. ] 이 글은 몇십번은 읽었습니다. 부끄러워하며 소유되어지는 여자는 최고의 여자라고 생각해요.
: 욕망에 비례하는 부끄러움이랍니다. 제자신을 놀려먹는데 부끄러움이 아주 많아요.
: 예쁜데요, 잔인한 말이겠지만 예뻐요. 욕망때문에 절정을 갈구하는 모습이니까요. 안기고 키스하고 감정이 포만해질때까지 사랑받는 느낌은 그냥 쉬이 지나가는 만남에선 얻을수 없는거니까요. 대부분은 부끄러운걸 싫어하고 밀어내죠.
: 그럼요. 오랜시간 쌓인 감정이 섹스를 할 때 비로소 빛을 발하는거라 생각해요.
: 생각치못한 답들에 제가 너무 말이 많았네요. 여기는 눈이 많이 옵니다. 한움큼 퍼다가 손에 쥐어드리고 싶네요.
: 여긴 눈이오지 않는 곳이라 마침 눈이 아주 많이 그리운데. 이런말을 들으니 달콤하네요.
: 모든감정이 시간에 비례할순 없겠지만 시간이 쌓이면 오해할일이 없죠. 그리고 서로 속속까지 잘 알게되니 저는 그게 시간이 주는 가장 큰 축복이라 생각합니다. 지배되어지는 것에서 절정을 느끼는 모습이 오히려 상대가 바닥까지 내보이며 다은씨를 욕망하는 모습을 보는것에 기인한다고 느껴졌어요. 그래서 주인이나 그런것보다는 맘속 서방이랄까, 내 남자. 만나지 못한다해도 기억해준다 얘기해줘서 기쁘네요. 시간도 감정도 귀한거니까요. 혹 나이가 많은 남자를 만난적이 있나요? 그런 느낌을 지울수가 없어서.
: 맘속에서 계속 자리를 잡고 있는게 주인이라고 하기엔 너무 단순하죠. 네 있어요. 그사람은 나쁜 사람이었죠.
: 몇살이나요?
: 열살이요.
: 다은씨를 많이 예뻐했겠네요. 나이가 들면 귀한걸 알아보고 아끼게 되니까.
: 예뻐했는데, 저를 비밀로 만나고 싶어했어요. 매달리면 싫어했어요.
: 조르고 매달리면 너무 예쁜데요.. 애원하는 여자는 미치게 사랑스러워요. 제가 이상한가요? 이소라를 좋아하셔서 더 좋네요.
: 그렇다면 다행이에요. 저는 사랑에 항상 목말라 있거든요.
: 제 20살은 이소라와 김동률이 절반이었습니다.
: 어엇 그러시군요. 반가운데요? 미국에 오면서, 이소라를 이제 못만날수 있다는게 제일 슬펐어요.
: 목마르다고 쉬이 마음을 주지 않으실 분일거라 생각합니다. 오히려 귀한맘이니 더 까다롭고 첨예하겠죠. 저도 올해 소라에게는 못갔습니다. 어제 그제 손톱달이떠서 안그래도 생각이 났어요.
: 맞아요, 목말라있지만 까다롭죠. 아, 올해 못가셨군요. 궁금했는데.
: 그래서 선택할테니 더 매달리고 다 내어주고 애원하겠죠. 너무 환상인가요?
: 아니요. 비슷해요.
: 글을 읽다보면 뭔가 자꾸 연결점이 생기고 연상이 되어서. 어떤때는 로리타, 어떤때는 데미지의 쥴리엣비노쉬같네요.
: 제가요?
: 네. 대부분 선택하고 사랑하는 남자에게 사랑받는 이미지이지만, 그때그때 글마다 내음이 다르니까요. 어떤때는 향수나 꽃향이지만 때로는 진한 애액을 머금은 속내음. 표현이 과한거라면 미안해요. 유려하지못한 말솜씨라.
: 아니에요 제가 그런사람인가 잠깐 생각했어요.
: 순전히 제 주관입니다. 화자의 의도보다는 읽는이의 관점인거니. 예쁘고 사랑스럽다 생각하니 노구가 음심에 차서 그리 보였을지도.
: 그러셨다니 다행이에요. 제 욕망은 아주 다양해서 이런저런모습으로 보였을거에요.
: 언젠가 가장 저면의 찌꺼기같은 욕망까지 엿보고 싶습니다. 시간을 내서 답해주는거 진심으로 고마워요. 꽤나 관심받고 대시받을거라 생각해요.
: 대시는 많긴한데. 매력적인건 적어요.
: 솔직히, 굉장히 나이많은 5-60대의 남자가 당신을 예뻐해서 길들여놓은줄 알았어요. 글에서 느껴지는 맛이 분명 깊고 진하다고 느껴서. 질투나면 웃긴 얘길까요?
: 나이많은 사람은 아니고. 여태겪었던 모든 사람이 저를 길들이긴 했죠.
: 소유욕과 정복욕에 끓어오르게 만드는 매력이 있어요.
: 질투나요?
: 네, 질투나요.
: 괜찮아요. 충분히 더 매력적이니까. 대화나누는 결이 다르게 느껴지거든요.
: 얘기해줘서 고마워요. 남자를 우쭐하게 만들어주는법도 아는군요. 몸에 베인건지 배운거지 모르지만, 어느쪽이든 매력이에요.
: 남자는 곧죽어도 칭찬해줘야 한다고 배웠거든요. 농담이고, 진심이에요.
: 예뻐서 욕할뻔했어요 진심. 그럴 사이가 아니라 자중하느라 애쓰고 있습니다.
: 더 친해져요.
: 기다렸던 대화는 자칫 섣불리 혼자 끓어오를까 저어되니까요. 저는 야하고 상스럽고 진해야 속정이 쌓인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밖에서 더 점잖게 보이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그리 생겨서 그러면 별로니까.
: 밖에선 젊잖고 안에선 야해져야죠.
: 남편행세 서방행세 하며 군림하고 싶어해요. 결국 뼛속까지 길들여져서 어디서 놀다가도 나한테 돌아오라고. 성향자든 변태든 그건 상대의 판단이겠지만 저는 ��랑이라고 생각합니다.
: 길들여져서 내게 돌아오라고 말하는 사랑. 좋네요.
13 notes · View notes
lemon2sang · 11 months
Text
Tumblr media
(사진 출처 : https://www.yes24.com/Product/Goods/74816178 )
<만남> 또 바르트의 독서론을 이해한다: "사랑의 기쁨은 한 권의 책과 만나는 기쁨이다. 그 책을 읽는 독서의 기쁨이다. 사랑하는 한 권의 책이 없었다면, 하나의 문장, 하나의 단어, 하나의 문장부호가 없었다면, 나는 내 욕망의 장소에 도착할 수 있었을까. 내 안에 있었지만 있는 줄 몰랐던, 사교계 안에서 그토록 착았지만 어디서도 발견할 수 없었던, 내 욕망의 장소를 만날 수 있었을까. 고독의 흔적들이 욕망의 기쁨으로 울리는 내 육체의 초인종 소리를 들을 수 있었을까." (p17)
"슈베르트를 들으면 눈물이 흐른다. 하지만 왜 눈물이 흐르는지 우리는 알지 못한다." 테오도르 아도르노, <슈베르트> (p21)
<나의 얼굴> 거울을 본다. 나의 얼굴을 본다. 네가 그토록 수없이, 때로는 너무 가까이, 때로는 어쩐지 먼 시선으로 바라보았던 나의 얼굴. 이 얼굴은 이미 나의 얼굴이 아니다. 나의 얼굴은 양피지다, 팔림프세스트다. 먼저 써진 텍스트였던 나의 얼굴. 그러나 너를 만난 후 그 위에 덧써진 너의 흔적들. 그래, 지긋한 시선으로 네가 나를 볼 때마다, 나는 네가 내 얼굴에 문장들을 쓴다고 생각했었다. 내 얼굴은 이제 네가 시선으로 쓴 문장들로 가득한 텍스트다. 그 텍스트 위에 나는 또 무엇을 쓸까. (p25)
<꿈> 꿈에서 깨어나면 너무나 가슴이 아프다. 나는 그 아픔을 기쁨으로 포옹한다. 그 아픔이 있을 때, 당신이 꿈의 무덤 속에서 있을 때, 나는 또 그 부재의 땅으로 내려가 지나가는 당신을 빈 정거장처럼 만날 수 있으니까. (p33)
<통점> 나 또한 그렇다. 나도 추억의 통점이 내 몸속에 더 깊이 못 박히기를 바란다. 그 통점은 나의 장기가 되어 내 안에 살고 있는 그 사람이니까. 그 통정이 사라지면 그 사람도 영원히 나와 상관없는 부재의 존재가 되고 말 테니까. (p39)
<잔인한 침묵> "당신의 침묵 앞에서 나는 서서히 미쳐가고 있어요" 이별 뒤에는 말들이 사라진다. 말들이 있던 자리가 텅 비어 침묵의 진공이 된다('저 우주의 진공이 나를 두렵게 한다. 나는 실어증 환자가 된다. 나는 말을 잃는다. 말하기가 힘들어진다. 이런저런 일들, 이런저런 사람들과 만나서 말하는 일 이 너무 힘들어진다. 어느 때는 억지로 말을 하다가 그만 구토를 느끼기도 한다. 야누스의 구토 그건 말하기가 너무 역겹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건 또 너무 말을 하고 싶기 때문이다. 나의 침묵은 내 안에 말들이 없어서가 아니다. 오히려 내가 온통 말들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 말들의 총합이다. 소리가 되지 못하는 말들, 침묵의 형벌에 처해진 말들, 저주받은 말들, 밖으로 터져 나오려는 말들, 이 말들은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그건 구토뿐이다. (p40)
<포옹> 때로 나는 나를 껴안는다. 꼭 껴안는다. 너를 껴안듯이. (p49)
<눈물> 사랑은 두 번 눈물을 흘린다. 사랑하고 있을 때와 사랑이 끝났을 때, 그 사람 앞에서 흐르는 눈물과 그 사람의 부재 앞에서 흐르는 눈물. 그 사람 앞에서 울 때, 그 눈물은 기호다. 그 눈물 안에는 포즈가 있다: "보세요 난 지금 이렇게 울고 있잖아요. 다 당신 때문이에요 당신이 나빠요...... " 사랑의 눈물은 갈 곳이 있다. 흘러서 그 사람에게로 도착하고 그러면 멈춘다. 그 사람이 같이 울어주거나 나를 안아주니까: "미안해요 나를 용서해요 이제 다시 아프게 하지 않겠어요" 그러나 눈물은 당신이 떠난 뒤에도 흐른다. 이때 눈물은 느닷없이 흐른다. 니체가 말하는 '때 없음(das Unzeitgemaesse)' 의 사건처럼. 이 눈물에는 기호도 포즈도 없다. 보여줄 사람도, 보아줄 사람도 없으므로 도착할 곳이 없다. 그래서 부재의 눈물은 멈출 수가 없다. 흐르고 또 흐르기만 하다가 결국, 하회의 물길처럼, 다시 나에게로 돌아와 고인다. 눈물을 흘릴수록 나는 비워지는게 아니라 자꾸만 차올라서 마침내 눈물의 수조가 된다("대동강은 언제나 마를까, 이렇게 나날이 눈물이 더하니......"). 눈물은 더 흐르고 수조는 넘치고 나는 목이 되어 넘쳐서 흐르는 눈물의 물길을 정처 없이 떠내려간다. 어딘지 모르는 곳으로, 그 사람이 있는 곳으로, 그 사람이 없는 곳으로, 그 사람이 있어야만 하는 곳으로......... (p51-52)
<분노> 그러나 나를 다시 찾아도 나의 슬픔은 무너지지 않는다. 그냥 그대로 석고상처럼, 화석처럼, 그 자리에 있다. 시간은 나의 슬픔을 실어 가는 것이 아니라 나의 슬픔 곁을 지나쳐간다. 마치 파도들이 암초를 지나가도 암초는 남듯이. 그리하여 시간이 증명하는 건 시간이 아니다. 그건 슬픔이다. 사토리는 슬픔이다. (p53-54)
<미련> 그리하여 나는 깨닫는다, 사라진 그 사람을 여전히 간직하는 건 나의 육체뿐이라는 걸. 시간에 의해서 순간순간 낡아 가면서도 그러나 육체는 앞으로만 가는 시간을 거꾸로 걸아간다는 걸. 과거로, 그 사람이 있었던 시간으로, 그 사람이 있었던 공간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는 걸. 아무리 설득해도 나의 육체는 말을 듣지 않는다는 걸, 아무리 설득해도 말을 듣지 않고 울기만 하는 고집 센 아이처럼...... (p53) 사랑이 끝나면 약속은 사라지는가? 실현과 헤어지면 약속도 끝나는가? 아니다. 그래도 약속은 남는다. 그 사람은 떠났어도, 실현은 불가능해도, 나는 약속을 간직한다(어느 때는 혼자 약속하고 그때 거기로 가서 빈 의자와 마주 앉았다 돌아오기도 한다. 돌아오면서 나는 스스로를 비웃는다. 이 바보야, 라고). 내가 약속을 버리지 못하는 건 애착이나 욕망 때문이 아니다. 두려움 때문이다. 약속마저 버리면 그 사람도 완전히 타인이 되고 말까 봐 두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텅빈 약속을 껴안고 사는 건 너무 절망적이다. 그 약속의 공허를 견딜 수가 없다. 그래서 나는 날아간 연 끈처럼 남아 있는 실현이 버리고간 약속의 실을 실현의 대체물과 연결한다. 그것이 희망이다. 그 사람이 완전히 떠나지 않았다는, 돌아올지도 모른다는, 실현이 불가능한 게 아니라 잠시 연기되었을 뿐이라는 희망. (p59-60)
<비참함> "나는 운다" 어느 날 아침, 깨어나서 나는 운다. 아이처럼 훌쩍인다. 눈물이 흐르지만 왜인지 모른다. 종잡을 수 없는 생각들이 지나가지만 왜인지 모른다. 아도르노: "슈베르트를 들으면 눈물이 난다. 그러나 왜 눈물이 흐르는지 우리는 알지 못한다." 아무것도 모르는 채 내가 아는 건 가엾음뿐이다. 나는 내가 가엾다. 그냥 살아가는 것이 자고 깨어나고 일하고 사랑하고 아파하는 일들이 모두 가엾다. 이럴 때는 심지어 지금 네가 나의 베개 옆에 있어도 가엾음이 사라지지 않을 것 같다. 너의 포근한 숨소리를 들어도, 너의 머리카락 냄새를 맡아도, 눈물은 멈추지 않을 것 같다. 가엾어서, 그냥 사는 일이 가엾기만 해서. 그래서 그리스 사람들은 말했던 걸까:"세상에서 제일 슬픈 일은 사람으로 태어나는 일이다." (p69)
<사라짐> 이별 뒤에는 긴 피곤함이 있다. 나는 그 피곤함에 저항하지 않는다. 그 피곤함에게 나를 맡겨버린다. 그러면서 나는 사라져간다. 피곤함 속으로 조금씩 조금씩 흩어지고 녹아들면서, 마치 푸른 담배 연기가 대기 속으로 흩어져 사라지듯이. (p77) 이후 나는 딱딱해졌다. 가정이, 학교가, 사회가 나를 딱딱하라고 가르쳤고, 나를 딱딱하게 만들었다. 나는 딱딱함이 싫었다. 무거움이 싫었다. 나는 가벼워지고 싶었고 녹아버리고 싶었고 세상으로부터 사라지고 싶었다. 그때 당신이 뗏목처럼 떠내려왔고, 나는 그 뗏목을 타고 사라질 수 있었다. 당신의 가슴속으로, 목소리 속으로, 냄새 속으로...... 사랑에 빠진다는 건 사라질 수 있음이라는 걸 나는 당신에게서 배웠다. 그러나 당신은 떠나고, 이별의 곤비함만이 남았다. 당신은 부재해도 당신이 가르쳐준 사라져감의 행복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이별의 곤비함 속으로 사라져간다. 아무런 저항도 없이 끝없이 사라져간다. 나는 당신에게로 사라 져가는 걸까. 당신에게로 도착하려는 걸까. 그러나 나는 알고 있다. 재회는 없다는 걸, 당신은 도착지가 아니라는 걸. 그런데도 사라짐은 멈추지 않는다. 이별의 사라짐은 어디로 사라지는 걸까. 이별의 사라짐은 도착 없는 사라짐이다. 그래서 나중에는 당신마저 초과한다. 부재의 불가능성마저 초과한다. 그 어떤 불가능성도, 경계도 이 사라짐을 멈추게 할 수 없다. 사라짐만이 목적인 사라짐. 이 사라짐은 어디로 가는 걸까, 유년으로 가는 걸까, 내가 다녀온 어디인지도 모른 어느 곳으로 가는 걸까. 그런데 거기는 어디일까. (p78-80)
<허전함> 사랑과는 이별을 해도 이별과는 이별할 수 없는 걸까? 칼 하인츠 보러: "이별은 존재의 원풍경이다. 우리는 이별과 더불어 태어나서 이별과 더불어 살아간다." (p86)
<추억> 그 사람이 떠나면 추억이 남는다. 나는 그 추억을 꼭 붙든다. 추억이 나를 떠날까 봐 두려워서. 추억이 떠나면 나는 그 사람을 잊고 그 사람도 완전히 나를 떠나고 말까 봐. 나는 망각의 두려움과 맞서서 추억에 매달린다. 하루 종일을 추억으로 지새운다. 하지만 부재의 추억은 얼마나 허망하고 괴로운 것인지. 안개를 움켜쥐는 것처럼 그 사람의 부재만을 확인시키는 추억들. 나는 차츰 추억에 지친다. 추억이 싫어지고 미워진다. 내가 원하는 건 그 사람이지 추억이 아니야, 라고 격렬하게 항의한다. 그런데 나의 항의에 추억��� 항의하는 걸까. 추억은 물러가지 않는다. 오히려 더 집요하게 내게 매달린다. 그런데 왜일까? 왜 추억은 물러가지 않는 걸까? 내가 그 사람에 매달리는 것처럼, 왜 추억도 나를 떠나려 하지 않는 걸까? 그건 혹시, 나는 이별의 주체가 되어 상상한다. 추억이 그 사람이기 때문인 건 아닐까 추억하면 추억 속에 늘 있던 그 사람의 얼굴). 추억이 물러가지 않는 건 그 사람이 부재 속에서 나에게 매달리고 있기 때문인 건 아닐까. 그래, 그 사람은 떠났지만 아직 나를 떠나지 못하고 있는 거야. 그러니까 추억을 나처럼 떠나지 못하는 거야. 내가 추억을 떠나지 못하는 게 아니라 추억이 나를 떠나지 못하는 거야. 아니라면 왜 이렇게 추억이 집요할 수 있겠어? 그러자 나는 갑자기 온몸이 아파 오기 시작한다. 세상에 어떻게 내가 그렇게 잔인할 수가 있다는 말인가. 어떻게 내가 그 사람을 내게서 쫓아버릴 수가 있다는 말인가. 미안해요, 정말 미안해요, 나는 중얼거리면서 추억을 다시 꼭 붙든다. 추억 속으로 뛰어든다. 그 사람에게 온 마음으로 용서를 빌면서...... (p101-102)
<돌아오는 말들> 사랑이 끝나면 당신은 떠나도 말들은 돌아온다. 당신이 내게 했던 다정한 말들: 보고 싶어요, 언제 오나요?, 날 많이 생각하나요? 사랑해요... 그 말들은 나를 괴롭게 한다. 그 말들은 당신의 부재만을 확인시키니까. 그 말들은 유효기간이 끝났으니까. 그 말들 뒤에서 당신은 차가운 목소리로 이렇게 말하고 있으니까: 나는 이제 당신을 사랑하지 않아요. 나는 이제 당신의 사람이 아니에요............... 그러나 또 하나의 말들이 돌아온다. 그건 내가 당신에게 했던 사랑의 말들이다. 당신이 온몸을 열고 들어주어서, 당신의 몸속으로 들어가 저장된 나의 말들. 당신은 떠나도, 당신은 기억하지 못해도 내 사랑의 말들은 지금도 당신의 몸 안에 들어 있다. 당신의 말들이 내 몸 안에 들어 있듯이. 그리하여 너무 외로울 때, 당신이 너무 보고 싶어도 갈 곳이 어디에도 없을 때, 나는 나의 말들을 다시 불러들인다. 당신의 육체 안에서 지금도 여전히 당신의 온기, 냄새, 촉감들과 더불어 살고 있는 내 사랑의 말들을. 나는 그 말들을 꼭 껴안는다. 그 말들을 만지고 냄새 맡고 느낀다. 그리고 어느 사이 달아오른 몸으로, 당신이 곁에 있는 것처럼, 혼자 중얼거린다: 너무 귀여워요, 너무 멋있어요. 세상에 당신 같은 사람이 또 어디 있겠어요......(p107-108)
<결핍> 그러나 또 하나의 부재가 있다. 당신을 여전히 욕망하기 때문에, 당신에게 여전히 애착하기 때문에 나에게 존재하는 부재. 이 부재는 당신의 없음이 아니라 나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낸 주관적이며 상상적인 부재이다. 나의 욕망과 애착이 만들어놓은, 그러나 채울 수 없으므로 반드시 채워져야하는 결핍 (Desiderat)으로 존재하는 부재. 그러므로 당신이 떠났다는 객관적 사실은 이 결핍의 부재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다름 아닌 그 결핍이 내가 당신에게 애착하는 상상의 부재를 만들어내니까. 마찬가지로 여전히 당신이 내 곁에 있다 해도 당신은 나에게 부재하지 않고 그냥 없음일 수 있다. 내가 더는 당신을 욕망하지 않으면, 당신은 나에게 결핍으로 부재하지 않으니까, 당신은 있지만 그러나 없음이니까. (p110) 없음은 있음의 반대말이 아니다. 없음은 있음과 무관함이다. 거리에서 스치는 사람들, 영화 속에서 출몰하는 얼굴들, 광고 속의 여자들, 신문 안의 정치가들 그들은 내게 있지만 그러나 없다. 보고 보이지만 그러나 보지 않고 보이지 않는 사람들, 그들은 다만 덧없고 무의미한 익명의 존재일 뿐이다. '우리는 우리를 보는 것만을 본다'라는 베냐민의 말은 우리는 우리가 보는 것만을 본다는 말이기도 하다. 내 앞에 있지만, 나를 보지도 않고, 또 내가 보지도 않는 것들은 내게 있으면서도 사실은 없다. 그것들은 내게 부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들은 다만 내게 없음일 뿐이다. (p111)
<황홀경> "우리는 지극한 적막 속에 앉아 있었다" 슬픔의 끝에는 황홀경이 있다. 당신의 부재가 지극한 기쁨으로 타오르는 순간이 있다. 그동안의 모든 슬픔과 외로움과 애태움과 아픔이 빛나는 이 순간의 땔감들이었던 것처럼. 이별의 주체는 고행의 나무꾼이다. 이 찬란한 빛의 순간을 밝히는 땔감들을 구하려고 부재의 고통스러운 숲속을 헤매야 하는 고행의 나무꾼. 하데스로 내려가는 오르페우스처럼 나는 하강한다. 이별의 슬픔과 아픔을 다 치르며 부재의 바닥에 도착한다. 그리고 거기서 한 놀라운 영역을 만난다. 침묵과 적요의 영역. 모든 허구의 언어들이 정지된 자리에서 사랑의 언어들이 생성되는 영역, 모든 불안과 두려움의 시끄러움이 정지되고 생의 기쁨들이 솟아오르는 영역, 거기에서 나는 깨닫는다. 당신은 나를 떠난 것이 아니었다는 걸, 당신은 먼저 이곳으로 와서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는 걸. 슬픔의 끝에는 부재가 부재의 끝에는 실재가 있는 걸까. 그래서 어머니를 잃어버린 긴 애도의 끝에서 바르트도 말했던 걸까 "바쇼의 긴 여행기. 그중에서 카시노의 절을 방문한 바쇼가 한 선사와 만나는 장면: '우리는 오랫동안 지극한 적막 속에 함께 앉아 있었다." 지극한 적막: 그건 타오르는 적막이다. 지금 뜨겁게 타오르 는 당신의 부재처럼............... (p115-116)
<거식증> 카프카의 '단식 광대'도 슬픔에 빠졌던 게 아닐까. 그도 큰 사랑을 잃고 입맛을 잃어버린 이별의 주체가 아니었을까. 사랑의 슬픔으로 매일매일을 굶다가 서커스단으로 들어와서 광대가 되었던 건 아닐까. 단식 광대는 철창 우리 안에 앉아서 굶는 걸 공연한다. 잠도 자지 않고 물 한 모금 마시지 않으면서 굶기의 기술을 보여준다. 하지만 그가 보여주는 건 굶기의 기술이 아니다. 그건 슬픔이다. 일체의 음식이 부재하는 굶기의 철창 안에 앉아서 그는 음식의 거부가 아니라 저 입안의 부재 속으로, 사랑의 슬픔 속으로 떠내려간다. 텅빈 입안의 공허, 부재의 슬픔, 그 끝까지 부표처럼 표류한다. (p126)
<사진> "나는 당신의 앨범이에요" 산다는 건 시간 속을 지나간다는 것이다. 시간 속을 지나간다는 건, 매 순간 우리가 우리를 떠난다는 것, 우리 자신을 지나간다는 것이다. 매 순간 존재하는 단 한 번의 우리와 매순간 이별하면서 매 순간 다음 순간의 우리로 달라진다는 것, 그것이 시간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산다는 것, 그것은 매 순간 우리 자신과 이별한다는 것이다. (p139) 사랑은 이 본질적 허무의 자궁으로부터 태어난 것일 아닐까. 이 본질적 허무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우리는 그 누군가가 있어야만 했던 건 아닐까. 매 순간 떠나야 하는, 이별해야 하는, 덧없이 사라져야만 하는 나를 떠나지 못하도록, 사라지지 못하도록 꼭 붙들어줄 수 있는 누군가가 있어야만 했던 건 아닐까. 덧없이 사라지는 나를 남겨주고 싶은, 저장하고 싶은, 나의 모든 것을 다 주어서 그 사람 안에 간직하고 싶은, 그런 누군가를 우리는 애타게 그리워하고 찾았던 게 아닐까. 그리고 그때 그 누군가가 축복처럼 우리에게 오는 것이 아닐까. 돌아보면 당신도 그렇게 나에게 왔다. 와서 빛났다. 당신의 모든 것을 나에게 다 주면서 찬란하게 빛났다. 오이포리(Euphorie)처럼, 마지막으로 타오르는 촛불처럼, 몰락하는 것들의 찬연한 아름다움으로 빛나던 당신의 순간들...... 그 순간들 앞에서 얼마나 자주 나는 '안돼, 사라지면 안 돼!'라고 안타깝게 외쳐야만 했었는지. 덧없이 사라지는 당신을 멈추게 하려고, 그 빛나는 순간들을 꼭 붙들기 위해서, 애타는 사진가가 되어 사랑의 셔터를 누르곤했었는지. .....그리고 당신은 지나갔다. 이제 그 아름다운 당신은, 그 빛나는 순간들의 당신은 당신것이 아니다. 그 아름다운 당신을 당신은 이미 지나갔으니까. 그 빛나는 당신은, 당신의 순간들은 모두가 나의 것이다. 지나가면서 당신은 당신의 모든 것들을 다 나에게 주었으니까. 사랑하는 아내 오키프의 모든 것을 찍으려 했던 스티글리츠처럼 나는 당신의 모든 것들을 놓치지 않으려고 사랑의 셔터를 눌렀으니까. 그리하여 당신은 떠나갔어도 나에게 주었던 당신의 순간들은 나에게 남아 있다. 당신은 떠나버린 그 아름다운 당신(들)은 모두 내 안에 사진으로 남아있다. (p142) 바르트에게 사진은 '어두운 방(camera obscura)'이 아니다. 사진은 '밝은 방(camera lucida)'이다. 살아 있는 것이 이미지로 고정되는 죽음의 방, 그러나 빛으로 찬란한 방. 사라진 순간들이 '그때 거기에 있었음'의 빛으로 생생하게 살아 있는 방. 그때 거기에서 사라진 당신의 순간들이 지금 여기에서 기적처럼, 부활처럼, 당신의 빛나는 모습들로 다시 태어나는 방. 당신이 남긴 부재의 공간도 밝은 방이다. 당신이 없는, 당신의 순간들이 찬란하게 빛나는, 떠난 당신이 매번 수없이 다시 태어나 내게로 돌아오는 방...... 어떻게 내가 그 부재의 방을 떠날 수가 있단 말인가? (p143)
<고백> "미안해요, 그사이에 몇 번 다른 사람을 만났어요" 이별하는 시간은 얼마나 잔인한지...... 그건 그 시간이 연애가 끝나는 시간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건 그 시간이 갑자기 내가 신부라도 된 것처럼, 내가 당신의 고해성사를 치러야 하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잠깐 머뭇거리지만, 이윽고 오랜 부담을 털어버리는 사람처럼, 당신은 단호하고도 자명한 목소리로 내게 고백한다: "미안해요. 그사이에 몇 번 다른 사람을 만났어요." 나는 놀란다. 하지만 너무 많이 놀라지는 않는다. 그냥 입술을 조금 세게 물거나 고개를 주억거리면서 묵묵히 당신의 고백을 승인한다. 그런 줄 알았다는 것처럼, 짐작이 맞았다는 것처럼, 이미 선고를 받고 집행의 통보를 기다려온 사형수처럼 오히려 침착하게. 잔인한 건 당신의 고백이 아니다. 잔인한 건 나의 침착함이다. 이 침착함은 어디서 오는 걸까? 나는 이 침착함을 어디서 배운 걸까? (p151)
그러나 또 하나의 순간이 있다. 길고도 긴,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는 사랑의 순간이 있다. 그건 만남이 아니라 만남 뒤의 순간, 이별의 순간이다. 부재는 사라지지 않는 사랑의 순간이 갇혀 있는 공간이다. 그 공간 안에서 나는 꼼짝도 하지 않는다. (p158)
<사진> "당신의 사진이 없어서 얼머나 다행인지요...." 내게는 당신의 사진이 없다. 나는 왜 당신의 사진을 갖고 싶지 않았던 걸까. 그건 당신과의 이별이 상상도 할 수 없는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사진이 무슨 필요람? 나는 보고 싶으면 당신을 언제라고 볼 수 있는데? 그깟 거짓 이미지가 무슨 소용이람? 만질 수도 안을 수도 냄새 맡을 수도 없는 그런 당신의 이미지가 무슨 소용이람............... 당신은 내게 사진 속에서 사는 사람이다. '그때 거기에 그랬음'으로만 존재하는 애인이다. 사진이 아닌 당신은, 이별 후의 당신은 나에게 타인일 뿐이다. 그 후의 당신이 없다. 당신은 그때 죽은 걸까. 나는 당신의 장례를 치른 걸까. 시오랑은 말한다: "경쾌한 슬픔도 있다. 어젯밤 나는 나의 전생에 대한 장례식에 다녀왔다." 이별도 장례식인지 모른다. 그때 나는 이미 당신의 장례를 치렀는지 모른다. 그리하여 이후 당신은 내게 죽은 사람인지 모른다. 당신은 나에게 죽은 사람일까. 더는 존재하지 않는 존재일까. 당신에게는 내게 고통을 가할 자격이 없는 걸까. 그러나 사진이 있다. 찍지 않았지만 내게 남아 있는 당신의 포트레이트가 있다. 그 초상 사진 안에서 당신은 '그때 거기에 그렇게 있었다'. 그리하여 부재의 공간은 사진의 공간이다. 외부와 차단된, 지금의 당신과 무관한 프레임 공간, 그것이 내게는 부재의 공간이다. 그텅 빈 공간 안에서 당신은 나만의 당신이다. 그때 거기에서 그렇게 당신이 나만의 애인이었듯이.. (p159-160)
<착한 마음> 사랑은 결국 끝나고 만다. 그 끝남의 운명은 아무리 뜨겁고 진실한 사랑이라도 배신과 패배의 나락으로 굴러떨어지게 만든다. 하지만 이별이란 무엇일까. 이별은 이중적이다. 이별은 사랑이 패배와 배신으로 건너가는 분기점이다. 그러나 이별은 동시에 사랑이 그 운명으로부터 구원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이때 이별의 주체는 태어난다. (p163)
<배신> 미움은 분노가 되고 분노는 원한이 되고 원한은 복수의 음모가 되는 걸까. 나도 다른 사랑을 시작한다............. 그리고 깨닫는다. 새로운 사랑을 시작한 건 당신이 미워서가 아니라는 걸. 오히려 당신을 미워하는 내가 미워서라는 걸. 그 미움을 멈출 수가 없는 내가 두려웠다는 걸. 그래서 또 다른 사랑이 필요했다는 걸. 당신을 미워하지 않기 위해서 나는 따뜻함이, 다정함이 필요했었다는 걸. 그 따뜻함과 다정함에 기대어서만 당신에 대한 사랑을 지킬 수 있었다는 걸....... (p166)
<일> 당신이 떠나면, 나는 내가 제일 잘 숨는 곳으로 도피한다. 그건 일이다. 나는 일들을 부탁하고 모아서 그 안으로 파묻힌다. 낮이고 밤이고 일을 한다. 사이도 없이 일을 하면서 지쳐 간다. 지치면 잊을 수 있으니까. 하지만 결국 그 일들을 집어 치운다: 이건 일이 아니야. 이건 노동일 뿐이야. 일과 노동은 다르다. 노동에는 없는 것이 일에는 있다. 그건 '사이'다. 일과 일 도중에 늘 존재하는 사이들. 책을 읽고 글을 쓰다가 얼마나 자주 나는 고개를 들어 뜻 없이 창밖을 바라보는가. 그러면 언뜻언뜻 지나가는 사이들. 그 사이에 당신이 있고 약속이 있고 만남이 있다. 자주 묻던 당신: 날 많이 생각하나요? 나의 대답: 당신은 사이사이 지나가요................ 당신이 없으면 사이도 없다. 사이가 없으면 일도 없다. 그저 교환을 위한 노동만이 있을 뿐. (p176) 카네티: "나는 왜 글을 쓰는가. 그건 나를 위해서가 아니다. 그건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을 기념비로 만들기 위해서다. 그것이 나의 글쓰기가 죽음과 맞서는 단 하나의 이유이다." <합스테이드에서의 기록들> (p177)
<사랑과 죽음> 사랑이 끝나면 죽음만이 남는다는 것. 죽음에게 내던져진 다는 것. 그래서 네가 새로운 사랑을 시작하는 건 당연하다. 나는 너의 새로운 사랑을 막��� 수 없고, 막아서도 안 된다는 걸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나는 새로운 사랑을 시작할 수가 없다. 너 이외의 그 누구도 나는 새로운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래서 나는 죽음에게 내던져진다. 봉헌된다. 나는 그걸 무엇으로도 막을 수가 없다. 죽음의 제단에 제물로 바침을 당해도 저항하지 않는 사람, 그는 사랑이 끝난 사람, 사랑을 새로 시작할 수 없는 사람이다. (p180)
<환> "그래도 나는 별이 되고 싶지는 않아. 밤새워 눈을 뜨고 아름다운 지상을 내려다보고 싶지 않아. 난 차라리 지상으로 내려와 그대의 품속에서 눈을 감고 잠들고 싶어. 꿈을 꾸고 싶어...." 존 키츠 <정다운 별> (p182)
<꿈> "제발 꿈속으로 찾아와주세요" 그래서 나는 깨달았어요. 당신은 꿈속으로 올 수가 없다는 걸. 당신은 이미 내 곁에 있다는 걸. 부재 속에서 나는 당신과 더는 분리될 수 없도록 밀착되어 있다는 걸, 용해되어 있다는 걸...... 이 부재가 아니면 어디에서도 당신을 다시 만날 수 없다는 걸.............. 우리가 꿈속에서도 사랑하는 사람을 만날 수 없는 건 그사람을 여전히 사랑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그 사람이 우리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기 때문도 아니다. 그건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의 얼굴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 사람의 얼굴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 사람의 얼굴을 자꾸만 새로운 얼굴로 불러내기 때문이다. 그래서 헤어진 뒤에 돌아와서 다시 그 사람의 얼굴을 기억하려 해도 그토록 다시 보고 싶은 그 얼굴은 붙잡히지 않는다. 그리하여 프루스트는 말한다: "우리가 그 사람의 얼굴을 또렷하게 기억하게 되는 건 사랑이 끝났을 때이다. 그래서 그 사람의 얼굴이 또렷하게 기억나지 않으면, 우리는 우리 자신을 그만 자책하게 된다. 그 사람의 얼굴이 다시 생각나지 않는 건, 내가 그 사람을 충분히 사랑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p193-194)
<비극> 이 비극을 우리는 끈질기게 살아간다. 사랑이 이미 끝났다는 걸 알면서 사랑을 멈추지도 보내지도 못한다. 그렇게 사랑은 두 번의 비극이다. (p197)
<호기심> 다 이루지 못하고 끝난 사랑은 끝나지 못한다. 나는 이별을 받아들여도 사랑은 이별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랑의 호기심은 여전히 결핍으로 아파하고 허기로 배고파한다. 그 배고픔으로 나는 깨닫는다. 나는 당신을 모두 알지 못했다. 아니 전혀 알지 못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당신은 나에게 부재했었다. 그래서 지금 나는 묻지 않으면 안 된다: "아니 당신이 내 곁에 있기나 했었던가요?"라고 당신은 내게 실재한 적이 없었다. 당신은 늘 내게 호기심과 결핍 그리고 갈망의 사람이었다. 그렇게 당신은 반쯤만 실재하는, 아니 차라리 부재하는 사람이었다. 그렇게 나는 결핍의 주체였고 당신으로만 채워질 수 있는 그 결핍의 공간은, 집요해지기만 하는 호기심으로, 더 알 것이 증폭되는 당신의 존재 때문에, 채워지기는커녕 나날이 넓어지기만 했었다. 당신은 내게 다가오면서 다가올수록 멀어졌다. 내게 알려지면서 점점 미지의 사람이었고, 또렷해질수록 희미하게 사라져갔다. (p202) 호기심은 끝나지 않았다. 나는 여전히 허기로 고통받는다. 당신은 처음부터 부재였다. 그 부재가 나를 불타게 했었다. 배고프게 했었다. 왜 지금은 그래서는 안 되는 걸까? (p203)
<목소리> 낡음은 들어 있지 않은 것, 새로움만이 안에, 울림 속에 들어 있는 것, 그것이 사랑의 목소리라는 걸 나는 알아요. 모든 소리가, 음악마저도 그저 부재의 울림이고 흔적일 뿐이라는 걸 나는 알아요. 그렇지만 사랑의 목소리에는 부재가 없다는 걸 나는 알아요. 오로지 현존만이, 시간마저도 가볍게 뛰어넘는 현존만이, 부재의 사슬을 끊어버린 현존만이, 충만한 부재 속의 현존만이 사랑의 목소리라는 걸 나는 알아요, 그 누가 그 목소리를 잊을 수 있고 따라가지 않을 수 있겠어요. (p214-215)
<세상의 모든 풍경> "나는 지금도 사방을 두리번거려요" 이별은 왜 왔을까. 우리는 왜 헤어져야 했을까. 헤어짐의 이유는 많다. 하지만 뒤늦게 알게 되는 이유들은 이미 이유가 아니다. 이유에도 이유가 있다. 그 이유 때문에 일어나게 될 불행한 사건을 막아주고 멈추게 할 수 있는 힘을 아직 갖고 있을 때에만 그 이유들에게 이유가 있다. 이제는 알아봐야 아무런 소용도 없는 아픔의 웅덩이에 삽질만 더하는 그런 이유들은 이유의 자격이 없다. 아무것도 할 수 없고, 아무것도 되돌릴 수 없는 이유들이 무슨 존재의 이유를 지닐까. 아아, 만일 그걸 미리 알았더라면, 미리 깨달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후회하지만 그게 또 무슨 소용인가. 사랑에 '만일......'은 없다. 만일 내가 그걸 알았더라면, 만일 내가 그렇게 하지 않았더라면, 만일 당신이 그걸 내게 알려주었더라면...... 그러면 아마도 내가 당신을, 당신이 나를 그토록 야속해하지는 않았을 텐데, 의심하지는 않았을 텐데, 실망하지는 않았을 텐데, 떠나야 한다고 결심하지는 않았을 텐데...... 물론 그럴 수도 있었으리라. 하지만 지금 여기에서 그것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만일......'은 사랑의 언어가 아니다. 그건 사랑 안에는 존재하지 않는 말, 사랑의 부재 안에서만 존재하는 헛말일 뿐이다. 이미 항소할 수 없는 판결이 내려졌을 때, 과녁에 박힌 화살이 되고 말았을 때 비로소 얼굴을 보여주는 진실의 운명처럼, 늘 지각할 수밖에 없는, 헛짚을 수밖에 없는, 다시는 취소할 수가 없는, 이미 엎어지고 저질러지고 만, 곪을 때는 모르다가 마침내 터져서 지울 수 없는 고통의 흉터가 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보이고 만져지는 종기와 같은 것일 뿐이다. 결정적인 것은 언제나 '너무 늦은 것'이다. 이것이 사랑과 이별의 시간 형식이다. 지금이라도 멀리 여행을 떠날까요? 지금이라도 멀리 도망갈까요? 지금이라도 다시 시작할까요?라고 애타게 물어봐야, 미안해요. 너무 늦었어요. 라고 고개를 흔드는 당신은 되돌릴 수 없는 시곗바늘이다. 냉정하게 저 갈 길만을 가는 그토록 가혹하고도 잔인한 선언. 지금은 안 돼요. 이제는 너무 늦었어요................ 프루스트가 뼈아픈 후회의 마음으로 수도 없이 되뇌는 말: "그리하여 나는 나중에야 비로소 진실을 알게 되었으니......" (p217-219)
<낮은 신발> 그리고 부재. 단어도 물건도 없는 온전한 텅 빔. 그 부재 안에서 나는 여전히 항의한다. 부재는 여섯 번째 봉인이다. 그 봉인을 떼면 텅 빔뿐이지만 단어가 사라지고 물건이 사라져도 사랑의 법칙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래서 사랑은 부재를 통해서 말한다. 이 사랑의 부재 안에서 당신의 부재는 절망과 체념이 아니라 신뢰와 확신의 징표다. 아니라면 당신이 사라진 부재 속에서, 사랑의 법칙이 부재하는 부재의 세상 속에서 나는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는가. (p233)
<최후의 만찬> "나는 당신이 필요했어. 당신이 없으면 죽어버릴 것만 같았어. 그래서 하루 빨리 집으로 돌아가고 싶었어. 당신이 있는 곳으로 당신 곁으로 돌아갈 생각만 했어. 그런데 이렇게 당신을 다시 보니까 웬일인지 다른 생각이 들어. 지금은 당신이 없어도 괜찮을 것 같아. 당신 없이도 그냥 잘 살아갈 수 있을 것 같아..." <왼손잡이 여인> (p247-248)
하지만 나는 알리스처럼 울지 않는다. 브루노처럼 고백하지도 않는다. 당신처럼 시를 쓰지도 않는다. 나는 다만 박재상의 부인처럼 꼼짝도 안 하고 돌이 되어 당신의 부재 속에 앉아 있다. 당신이 떠나간 그 순수의 품속에 대신 앉아 있다. 그러면서 나는 당신과 함께 있다. 회가 된 당신을 먹으면서 나는 이미 비순수가 되었으니까, 내가 아닌 당신이 되어버렸으니까. 순수는 비순수가 되어도 비순수는 다시 순수가 될 수는 없으니까. 그것이 사랑이고 이별이니까. (p249-250)
- 김진영 , ' 이별의 푸가 ' 중에서
2 notes · View notes
iamkenlee-blog · 11 months
Text
youtube
20대 한 때, 죽기 전까지 만권의 책 읽기, 만 편의 영화 시청, 만장의 음반 청취 중 하나 정도는 해치우겠다는 정신 나간 생각을 한 적 있다. 가령 책을 만권 읽으려면 매달 9~10권씩 1년에 약 100권 읽는다고 해도 백 년이 걸린다. 물론 영화나 음악은 목표에 매진한다면 혹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콘텐츠를 즐기기보다 욕망 충족에 사로잡힌 미친 짓임을 깨닫기까지, 그나마 오래 걸리지 않아 다행이다. 게다가 당시엔 까맣게 몰랐던 거… 노화로 인해 뇌세포가 오작동하리란 걸 미처 예상 못 했다.
1998년 개봉한 '넥스트 스톱 원더랜드'란 영화를 전에 봤었는지 첨 보는지 긴가민가하며 계속 시청. 시종일관 보사노바가 계속 흘러나올 때 데자뷰를 느끼긴 했지만 확신이 없다가 엔딩씬을 보고 나서야 봤던 거임을 비로소 깨달음.
4 notes · View notes
handyup · 2 years
Text
다리에 힘이 풀려 혼자 제대로 걷지도 못할 지경임에도 죽어도 수영장에서 나가지 않겠다고 소리를 지르는 지안이나, 여독이 풀리지 않아서 눈에 졸음이 가득함에도 아빠랑 더 놀아야 한다면서 짜증을 부리는 준희, 이준이를 보자니, 인간의 욕망은 원래부터 결코 충분하게 충족될 수 없도록 설계된 것임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Tumblr media
4 notes · View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