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mgik
#culicines
wbqh58zlvgzxlr · 1 year
Text
Turkish Milf with Hijab sensual Blowjob Borracha grabada Horny Bitch Squirt Milk As She Cums Lexi Lore Gets Fucked By Dad While Mom Sleeps Right Beside Them Lua Pantera Gostosa de calcinha Tamil girl nude video Slut sucking BBC Russian gay bondage and doctor tube men The glance of the boys naked Do you like my tight panties and cute pigtails Japanese Dominatrix Sara Foot Fetish for Foot Worship Femdom
1 note · View note
Text
Acoustic Tracheal Rupture Provides Insights into Larval Mosquito Respiration by New Mountain Innovations
Acoustic larviciding (AL) occurs by exposing mosquito larvae to acoustic energy that ruptures their dorsal tracheal trunks (DTTs) by the expulsion of gas bubbles into the body. In studying this technique, we serendipitously identified undescribed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respiratory features. The classical theory of respiration is that the siphon and DTTs play obligate roles in respiration. Our results contradict the accepted theory that culicine larvae respire via atmospheric gas exchange. We identified an undescribed tracheal occlusion (TO) at the posterior extremities the DTTs. The TOs appear necessary for the acoustic rupture of DTTs; this constriction prevents the escape of energized gas from the siphon and allows the tracheal system to be pressurized. With a pressurized isolated tracheal system, metabolic gas exchange directly with the atmosphere is unlikely and could mostly occur through the chitin and seta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respiration and elucidate the mechanisms of oxygen absorption and carbon dioxide elimination. Introduction
Of all the disease-transmitting insects, mosquitoes are the greatest threat, as they transmit pathogens that cause diseases. In 2015, mosquitoes were responsible for 438,000 malaria-related deaths1. An outbreak of West Nile virus, in Queens, New York, in 1999 prompted the development of a new larvicide technique, acoustic larviciding (AL), in addition to traditional chemical larvicides2. While the exact mechanism of action of AL in mosquito larvae is unknown, tissue damage appears to be caused by vibrations that occur when the frequency of acoustic energy is matched to the resonant frequency3 of materials (i.e., water, air, tissue) inside the mosquito larvae, resulting in the vibration of these materials (similar to the shattering of crystal goblets by an opera singer). Exposing mosquito larvae to acoustic energy within a certain frequency band results in the rupture of the walls of the dorsal tracheal trunks (DTTs), causing the expulsion of gas into the body cavity, resulting in mortality, arrested larval development, or flightless adult mosquitoes. The DTTs are two significant tubes running the length of the abdomen acting as a central convergence of the tracheal system. AL, as a physical intervention, is effective against all larval stages with minimal lethality to off-target aquatic organisms4,5. It has been shown that treated larvae show pronounced damage to the DTTs4 suggesting that gas contained within these structures or the tracheal system is resonated by the acoustic vibration. However, the exact mechanism by which this phenomenon occurs is not clear within the framework of our current understanding of mosquito tracheal physiology.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AL using a precision research-grade, underwater acoustic transmitter. This device transmits controlled sonic energy to acoustically disrupt (i.e., rupture) the DTTs. This precise application of sound causes only the release of gas from the within the tracheal system into the body cavity while minimizing trauma to surrounding tissue. There is not enough power for this energized gas to rupture the exoskeleton and therefore remains trapped within the body cavity and can be readily measured for analysis. This technique allowed us to sever the tracheal trunks from the inside providing a novel perspective for evaluation.
This new approach revealed unexpected results shedding new light on the respiratory system. Observations from this technique impact the classical theory of mosquito larval respiration. This better understanding may potentially improve future efforts in controlling mosquito populations and the associated diseases they transmit.
Tumblr media
Results
Source of released gas into the abdomen.....
We found that AL treatment causes instantaneous and irreversible trauma to mosquito larvae. Before and after acoustic exposure of Aedes aegypti and Culex pipiens larvae depicting the impact on internal structures such as the active and future instar DTTs are shown in Fig. 1. Unexposed specimens’ (Fig. 1a) DTTs are intact with the active DTTs internal to the liquid filled future instar DTTs. Observations of acoustically treated larvae (Fig. 1b,c) revealed trauma to the DTTs with outward flares of the active DTTs. The future instar DTTs sustained damage and gas bubbles were observed within the abdomen. We observed this breach to be typically located at the interface of the abdominal segment (the same point where the DTTs separates into segments during molting). Source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0-59321-8
Also, visit the https://www.newmountain.com/ website for finding the articles content in PDF format. Facebook :: https://www.facebook.com/New-Mountain-Innovations-143350012763074
0 notes
mbimphblog · 3 years
Text
FIELD EVALUATION OF DIFFERENT LARVICIDES AGAINST ANOPHELES AND CULICINE MOSQUITOES | UTTAR PRADESH JOURNAL OF ZOOLOGY
R. SINGH, R. SINGH, R. SINGH, R (1981). DIFFERENT LARVICIDES WERE TESTED IN THE FIELD AGAINST ANOPHELES AND CULICINE MOSQUITOES. 1(1 & 2), UTTAR PRADESH JOURNAL OF ZOOLOGY, 123-124. Please see the link :- http://mbimph.com/index.php/UPJOZ/article/view/966
0 notes
iasuhfiu · 3 years
Text
마법천자문 보드게임 2종 세트 (한자고누놀이 6급 + 무한점프) 한자고누놀이 6급 + 무한점프 - 와이티미디어 편집부 ┮ 모기ⅶ
모기 1. 분류 현존하는 곤충 중 의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종류라고 할 수 있다. 인체와 가축을 공격, 흡혈하고 자상(刺傷)을 입힌다. 또한 병원체를 매개하여 인류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실제로 인간이 정착할 수 없을 만큼 모기의 번식이 심한 지역도 있다.세계적으로 모기과(family Culicidae)에 3,000여 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총 51종이 발견, 보고되었다. 열대지역은 물론 온대와 한대지역에서도 광범위하게 서식한다. 일반적으로 수액, 과즙 등을 빨아서 영양원으로 이용하나 암컷은 산란에 필요한 혈액의 성분을 얻기 위하여 흡혈한다. 모기과는 학질모기아과(Anophelinae)와 보통모기아과(Culicinae)로 구성되고, 학질모기아과에는 얼룩날개모기속(Anopheles), 보통모기아과에는 집모기속(Culex), 숲모기속(Aedes)과 늪모기속(Mansonia)이 있는데 이 가운데 얼룩날개모기속, 숲모기속, 집모기속이 의학적으로 중요하다.우리나라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모기의 종은 다음과 같다.1)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2) 한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koreicus) 3) 토고숲모기(Aedes togoi) 4) 한국숲모기(Aedes koreicus) 5)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6) 반점날개집모기(Culex bitaeniorhynchus) 7)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2. 형태 모기는 완전변태하는 곤충으로 알(egg) → 유충(larva) → 번데기(pupa) → 성충(adult)의 네 시기를 거치면서 발육한다. 알, 유충, 번데기는 물에서 살고 성충만 육서생활을 한다. 1) 성충 체형은 작고 길며 둥근 머리와 긴 다리가 특징적이다. 휴식 도중에 앉아 있는 모양을 보아 속을 감별하기도 하는데 꼬리를 45° 정도 위로 들고 있는 것은 Anopheles, 지면과 평행하게 있는 것은 Aedes와Culex 모기이다. 머리에는 한 쌍의 큰 복안(複眼)과 한 쌍의 촉수(palps), 한 개의 구기(proboscis)가 있다. 암수구별은 촉각(antenna)의 모양으로 쉽게 할 수 있는데 암컷은 촉각이 길고 가느다란 모양이며 각 관절마다 짧은 털이 나 있고, 수컷의 촉각은 우모(羽旄)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촉수로도 암수구별이 가능한데 보통 수컷의 것은 길고 암컷의 것은 짧다. 구기의 경우 수컷은 피부를 뚫을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암컷에게는 흡혈에 필요한 여섯 개의 침상 구조가 있다. 특히, Labrum-epipharynx와 hypopharynx가 흡혈관을 형성한다.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타액을 주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흉부는 전, 중, 후흉 중에서 중흉만이 크고 날개가 붙어 있다. 날개에 날개맥(vein)에 따라 인편(scales)이 있고 특히 날개 후연에 특이한 인편이 존재한다는 점이 이 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날개맥의 모양은 여러 종이 흡사하지만 인편의 색상은 Anopheles속의 종 동정에 이용된다. 외부생식기(hypopygium)의 형태도 감별에 중요하다. 내부구조는 곤충 일반의 구조를 참고로 한다.그림 161. 모기 암컷의 외형. A. 복부, ant. 촉각, e. 안구, F. 퇴절, H. 머리, h. halter, la. 순판(labellum), m.p. maxillary palp, p. postnotum, pr. proboscis, Sc. 등판(scutum), Sct. scutellum, T. 흉부, Ti. 경절, Ta. 부절, W. 날개.그림 16 2. 각종 모기의 머리 부위. 1. Anopheles 암컷, 2. Aedes 암컷, 3. Culex 수컷. 2) 알(egg) 보통 난형이나 표면에 많은 무늬 모양이 있다. Anopheles 모기는 방추형이며 좌우에 부낭(float)이 있다. Anopheles와 Aedes 같이 산란을 한 개씩 하는 종류와 Culex와 같이 난괴(raft of eggs)가 되게 하는 종류가 있다. 산란은 수면에 하는 것이 보통이다. 온대지역 모기는 대개 산란 후 수일 또는 24시간 이내에 부화한다. 알 상태로 월동하는 종류도 있다. 3) 유충(장구벌레, larva) 반드시 수중 생활을 하며 활발히 운동한다. 머리부가 넓고 크며 많은 강모가 다리의 역할을 한다. 구기에는 솔 모양의 털이 있어 포식하는 데 도움이 된다. 흉부는 체절이 융합되었고 특히 견모(shoulder hair)는 분류상 중요하다. 흉부는 아홉 절로 구성되며 제8체절에 호흡기(siphon)가 붙어 있다. Anopheles는 이것이 매우 짧거나 거의 없다. Culex가 가장 길며, Aedes는 중간 정도이다. 호흡기에는 측린(comb)이 있다. 이들의 배열, 수, 형상 등은 종 동정에 큰 도움이 된다. Anopheles 모기는 복체절에 손 모양의 털, 즉 장상모(palmate hair)가 존재한다는 점이 특이하다. 4) 번데기(pupa) 유충과 같이 수중 생활만 가능하다. 작은 새우와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유충의 호흡관과 같은 구조가 두흉부(cephalothorax)의 정상에 있다. 이것을 호흡관(respiratory trumpet)이라 한다. Anopheles는 말단이 벌어진 유형이고, Culex 모기는 말단까지 가늘고 긴 원통형 관을 이룬다. 번데기 흉부 배면에 종으로 긴 파열이 생기면 이로부터 성충이 탈출한다. 공중에 나오면 잠시 휴식하며 다리를 펴고 날개를 말린 후 날 수 있게 된다.그림 16 3. Anopheline 모기와 Culicine 모기의 감별. sp. 기공(spiracle), ph. 장상모(palmate hair), si. 호흡관(siphon), e. 눈(eye), tr. 호흡각(trumpet), abd.tip. 복부말단(abdominal tip), scut. scutellum, ant. 촉각(antenna), pa. 촉수(palpus), pr. 구기(proboscis). 3. 생태와 생활사 1) 서식처 종류에 따라 서식처, 흡혈 습성, 월동양상, 사육지 선택 등 생태학적 습성에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특정 모기의 생태를 충분히 이해하여야 그 모기에 맞는 관리 대책을 세울 수 있다. 모기 서식처에 따라 모기를 민가 모기, 염소지(鹽沼地)모기, 소택지 모기, 초원 임야 모기, 개울물 모기 등의 생태군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모기유충 발육에 직접적이고 광범위한 영향을 주는 것은 기온이다. Culex 종은 알이 1-3일이면 부화하고 유충은 네 번 탈피한다. 탈피에 따라 1, 2, 3, 4령기 유충으로까지 발육 성장하고 번데기가 된다. 보통 7-10일이 필요하다. 번데기로는 2-3일을 경과한다. 따라서 알에서 성충까지 자라는 데 10-14일이면 충분하다. 기온이 떨어지면 발육이 지연된다. Ae. aegypti는 약 10일이면 알에서 성충까지의 생활사를 완료할 수 있다. 2) 이동범위와 활동시간 종류에 따라 모기의 이동 범위에도 상당한 차이가 있다. 모기의 수는 많은데 흡혈 대상이 적다든가 하면 넓게 퍼질 수도 있다. 바람에 따라 또는 선박, 차량 등 인공적 요인에 따라 이동 범위가 넓어질 수도 있다. 보통 Culex 모기는 Anopheles 모기보다 이동범위가 더 넓은 것으로 추정한다. Ae. aegypti와 같은 모기는 사육지에서 그리 멀리 이동하지 않는다(약 450 m). Anopheles 모기는 약 1.6 km 범위가 보통인 것으로 추정한다.모기의 대부분은 야간 활동성이지만 Anopheles를 포함한 많은 종류가 주로 일몰 시나 아침에 더욱 활발하게 활동한다. 밤이 추운 지역, 초원, 임야군에서는 주간 활동이 뚜렷하다. Ae. aegypti는 아침이나 늦저녁에 흡혈하기를 좋아한다.흡혈 활동뿐 아니라 휴식장소도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이것은 각종 모기의 혈액기호성과도 관계있다. An. sinensis는 사실상 인혈기호성(anthropophilic)이라기보다는 소, 말 등과 같은 대동물혈기호성(zoophilic)이 더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u. pipiens, Cu. bitaeniorhynchus는 조류를, Cu. tritaeniorhynchus의 소형종은 가축을 좋아한다고 한다. 따라서 이들은 우사나 마사에 침입해 흡혈한 후 그대로 축사에 남아 낮을 보내기도 한다. 일부는 흡혈 후 즉시 탈출하고 근처 풀밭에서 낮 동안 휴식을 취한다. 3) 월동과 출현 추운 겨울, 또는 열대지역의 건조기를 넘기는 방법도 모기에 따라 다르다. 대체로 성충으로 월동(hibernation)하는 것이 많다. Anopheles와 Culex 속은 성충으로, Aedes 속은 알로 월동하는 경우가 많다. 유충으로 월동하는 종류도 있다. 성충의 월동장소는 축사, 동굴, 방공호, 볏짚, 헛간, 다리 밑, 지하수로 등이다. 월동 중인 것은 암컷이 대부분이나 때로 수컷도 발견된다. Cu. tritaeniorhynchus와 같은 것은 월동장소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An. sinensis와 Cu. pipiens의 월동장소로 지하수로가 많다는 보고가 있다.월동한 다음해 봄 가장 일찍 출현하는 것은 Cu. pipiens pallens라 한다. An. sinensis, An. koreicus도 비교적 일찍 출현한다. Cu. tritaeniorhynchus는 6월에 가서야 유충을 채취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Anopheles모기는 매년 4월 말이나 5월에 나타나기 시작하고 10월에 없어진다. Cu. tritaeniorhynchus는 7월부터 증가하여 8월에 최고치를 이루고 9월 하순에는 거의 없어진다.모기의 생존기간도 암수와 종류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수컷은 1-3주 이상 생존하지 못한다. 암컷은 환경 조건이 좋으면 오히려 생존기간이 단축된다. 즉, 흡혈을 충분히 할 수 있고 적합한 사육지가 있으면 모든 알을 2-3주 내에 산란하고 죽는다. 반대로 환경이 좋지 못할 경우에는 수개월까지 생존할 수 있다. 월동할 암컷은 더욱 생존기간이 길어진다. 4. 모기와 질병 모기는 자극성 피부염과 같은 직접 피해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말라리아, 사상충, 황열 등의 중요한 병원체를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1879년 패트릭 맨슨(Patrick Manson)이 중국에서 처음으로Culex fatigans 모기가 사상충의 중간숙주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으나 사상충증이 당시에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크게 주목받지 않았다. 그러나 맨슨은 런던으로 귀국한 후 1893년에 말라리아의 모기매개설을 주장하였다. 그는 이를 증명할 것을 젊은 군의관 로널드 로스(Ronald Ross)에게 권했고, 마침내 1898년 로스는 말라리아가 모기에 의해 매개됨을 증명하였다. 이어서 1900년에는 황열(yellow fever)의 매개체가 Ae. aegypti임이 밝혀졌다. 이후 모기는 의학적으로 중대한 관심사가 되었다. 1) 직접적 피해 사람에 따라 자상에 대한 피부반응이 다르다. 모기에 대해 면역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대개는 자기 지역의 모기에 대해서만 ���런 것으로 추정한다. 자상이 심하면 가려움 때문에 자극성 피부염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고, 이차적 세균감염으로 농가진을 일으키기도 한다. 모기의 발생이 심해 사람의 옥외 노동이나 거주 등이 제한된 예가 있다. 가축에게도 비슷한 피해를 줄 수 있어 결국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2) 모기가 매개하는 질병 (1) 말라리아(Malaria)모기는 모든 열원충(Plasmodiidae과)의 종숙주로 작용한다. 인체말라리아를 전파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한 속, Anopheles뿐이나 Anopheles의 모든 종이 전파 가능한 것은 아니다. 비록 실험 감염이 성립했다 하더라도 자연계에서 실제로 매개작용을 한다고는 볼 수 없다. Anopheles 모기의 말라리아 감염과 전파의 차이는 모기의 혈액 기호성, 즉 인혈기호성(anthropophilism)이나 동물혈기호성(zoophilism)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An. sinensis(중국얼룩날개모기)의 자연감염률은 극히 낮아 5,086마리를 해부했더니 단 1례에서 삼일열원충의 감염이 발견되었다. An. sinensis 외에도 An. sinensis-complex로 불리는 An. pullus와 An kleini도 삼일열원충의 매개모기가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An. sinensis가 옥외기호성(屋外嗜好性, exophily)임에 비해 An. pullus는 옥내기호성(屋內嗜好性, endophily)이 더 강하다. (2) 황열(Yellow fever)황열은 Arbovirus group B를 병원체로 하는 급성 전염성 열병이다. 심한 전신쇠약, 황열, 출혈과 단백뇨가 특징이며 사망률은 상당히 높다. 잠복기는 3-6일이나 이보다 길기도 하다. 심한 두통, 근육통에 열은 39-40°C까지 상승한다. 잇몸, 코 점막에 출혈이 나타나며, 피부는 건조해지고 황달이 결막에 나타난다. 발병 초기에는 열이 있고 맥박은 120에서 다시 40으로 떨어진다(Faget’s sign). 심한 토혈이 있으면 예후가 좋지 않다. 대부분의 환자가 상당히 가벼운 증상을 나타내고 회복하면 완전 면역을 획득한다. 황열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으며 한번 접종하면 10년 이상 유효하다. 가장 중요한 매개모기는 Ae. aegypti이다. (3) 뎅기열(Dengue fever, dengue hemorrhagic fever)뎅기열도 Arbovirus group B를 병원체로 하는 전염성 열병으로 가벼운 황열과 비슷하다. 사망률은 높지 않다. 잠복기는 4-10일이며 오한과 사지통, 요통, 안구 후부 동통으로 발병하고 열은 39.5-40°C로 4-7일간 계속된다. 급성기를 지나면 열이 떨어지나 수 시간 후 다시 상승하면서 발진이 나타난다. 2-3일 후 발진이 없어지고, 때로는 결막에 황달이 나타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매개모기는 Ae. aegypti와 Ae. albopictus이다. 혈류내의 출현은 열이 있을 때 3-4일 전후이므로 모기는 발병 초 3-5일 사이에 환자를 물어야 한다. 모기가 감염력을 가지려면 11일이 필요하나 8일인 때도 있다. (4) 사상충증(Filariasis)인체기생인 반크롭트사상충과 말레이사상충의 중간숙주로서 유충은 모기 체내에서 발육, 변태한다. 모기의 흉근에서 성숙해 제3기 유충으로 발육하면 두부로 내려와 모기가 흡혈할 때 구내초(proboscis sheath)를 통해 환자 피부로 나오고, 모기 자상 부위 또는 건강한 피부를 거쳐서 인체내에 들어온다.중요한 모기로는 Cu. fatigans, Cu. pipiens pallens, Ae. aegypti, Ae. togoi, Ae. scutellaris 또는 An. sinensis 등이 알려져 있으나 사상충 종에 따라 일정 모기만 관련하는 경우도 있다. 말레이사상충 매개체가 제주도에서는 Ae. togoi, 내륙지방에서는 An. sinensis인 것으로 밝혀졌다.일본뇌염은 1871년부터 알려지다가 1924년 일본에서 크게 유행했다. 한국에서도 1949년에 전국적 대유행이 있었고 이후 사회적으로 주의를 환기하기 시작했다. 1949년 유행에서 5, 548명이 발생, 그중 2, 429명이 사망하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사람과 가축의 혈청내에 중화항체가 고율로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는데 특히 돼지는 중요한 병독증폭 숙주로 인정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매개모기는 Cu. tritaeniorhynchus로 추정한다. 5. 모기의 구제 모기가 매개하는 모든 질병의 관리가 모기의 구제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매개체의 완전한 관리를 위해 질병 자체를 충분히 이해해야 하는 것은 더 말할 나위 없이 중요하다. 질병의 원인, 역학, 전파의 기전, 매개체의 생태 등도 잘 알려져야 한다. 동시에 관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유행지역의 지역적 특징, 사회 경제적 수준, 인구형, 민족 등의 요소를 파악해야 한다. 정부의 경찰력, 충분한 자금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모기의 구제법만을 다루기로 한다. 1) 모기로부터의 방어 방충망은 각 가정에서 취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라 할 수 있다. 모기뿐 아니라 집파리 등 기타 곤충의 옥내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대개는 살충제, 특히 잔류효과가 있는 약제와 겸용하는 것이 좋다. 망은 16 mesh(1인치에 16망선)형이 좋고, 동선 이외에 플라스틱제가 나와 있다. 개인적 예방 활동으로 기피제(repellents)를 주간 활동 시 노출된 피부에 바를 수 있다. 이것은 Rutgers 612(2-ethyl-hexanediol-1-3), dimethyl phthalate, indalone으로 구성된 것으로 5-6시간 정도 유효하다. 2) 성충구제 월동장소의 성충을 공격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 DDT(dichlorodiphenyl trichloroethane)는 유충, 성충에 모두 유효하다. 분말로 사용하거나 등용 석유에 용해하여 분무한다. 잔류효과를 기대하기 위하여 12.5갤런의 석유에 5파운드를 ���해시킨 5% DDT 용액을 표면 매 입방피이트당 200mg 정도 뿌린다. 5%액 1갤런이면 100입방피이트를 분무할 수 있다. 옥외에서는 50% 용액을 사용한다. 실내에서는 속효를 거두기 위하여 aerosol형을 사용한다. Aerosol은 pyrethrum, lindane, DDVP 약제를 Freon gas와 같이 넣은 것이다. 저항성이 문제가 될 경우에는 DDT 대신 BHC(lindane), dieldrin, malathion, diazinon 등을 사용한다. 3) 유충구제 발생지제거(source-reduction program)는 가장 중요한 관리법이다. 종류에 따라 생물학적 습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간단히 수조, 용기 등에 고인 물을 없앤다. 불필요한 웅덩이는 배수하거나 메워버린다. 배수구를 정비하거나 유수 속도를 빠르게 하여 성충이 산란할 수 없게 ��다. 수초를 제거하는 방법도 있다. 알, 유충, 번데기를 포식하는 소형어(larvivorous fish), 즉 Gambusia 등을 도입하거나 대형 모기유충에 기생하는 선충류(Reesimermis nielseni), 원충류(Nosema, Pleistophora, Stempellia, Thelohania), 진균류(Coelomomyces) 또는 세균류(Bacillus thuringiensis)를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JH(juvenile hormone mimics) chemicals가 유충-번데기, 번데기-성충 시기에 작용하여 발육억제를 일으켜 정상 생활사를 완료하지 못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유충포식성 식물(Utricularia)을 이용하기도 한다.유충살충제(larvicides)로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성충에 유효한 DDT, DDD가 사용되며, DDT 저항이 있을 경우 methoxychlor, BHC, dieldrin, toxaphene 등이 유효하다. 그러나 잔류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수면의 주유(oiling)는 유충의 살충에 큰 효과가 있는데, 물에 잘 용해되고 확산되어야 한다. 수면유막을 비교적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유류가 좋다. 그러나 수생 식물, 어류에도 해가 있을 수 있다. Pyrethrum과 oil을 혼합해 사용하기도 하며, Paris green과 같은 독물을 사용하기도 했다. 분말은 수면에 장시간 떠 있으면서, 특히 Anopheles 모기유충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4) 유전학적 관리 유전학적 접근으로 모기를 구제하려는 시도는 아직 크게 실용적인 것이 못되지만 매개체 자신을 자멸하게 하려는 방법으로 수컷단종법(sterile male technique), cytoplasmic incompatibility, hybridsterility, chromosome translocation, conditional lethal gene, gene replacement 등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법천자문 보드게임 2종 세트 (한자고누놀이 6급 + 무한점프) 한자고누놀이 6급 + 무한점프 - 와이티미디어 편집부 어린이 인기학습만화 『마법천자문』의 캐릭터를 사용하여, 한자학습용 보드게임 2종 세트입니다. 우리 민족의 전통놀이인 고누놀이를 모티브로 개발된 마법천자문 “한자고누놀이6급”과 “무한점프” 세트는 한자능력검정시험 6급 한자 120자와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고사성어를 모두 배울 수 있는 한자카드를 이용해 놀이를 즐기면서 저절로 한자를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억력, 추리력, 판단력 등 어린이들의 지능개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자 교육용 전략게임입니다. 간단하고 쉬운 게임방식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어 어린이들은 물론 부모님과의 건전한 놀이를 통해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
0 notes
neetpgpreparation · 4 years
Text
NEET Pg 2020   Favorite: Japanese Encephalitis
Japanese Encephalitis is examiners favorite. It is a frequently asked Topic repeated multiple times. It is a mosquito borne encephalitis caused by a group B arbovirus. It is transmitted by Culicine mosquitoes.
It is a zoonotic disease infecting mainly animals and incidentally man. Endemic in Korea and recently in India, Sri Lanka and Vietnam.Out breaks have been reported from the states of AP, Assam, Bihar, Haryana, Karnataka and Kerala
Pigs have been incriminated as major vertebrate hosts, they do not manifest the disease, but circulate the virus so that mosquitoes get infected and can transmit the virus to man.
Pigs are considered as amplifiers of the virus. Cattle and buffaloes may also get infected, but not natural hosts of JE virus.
More info for NEET Pg Test  Visit Med Exams Prep
0 notes
eurekamag--com · 7 years
Text
On the dynamics of symbiote-dependent cytoplasmic incompatibility in culicine mosquitoes
http://dlvr.it/PSt6s7
0 notes
eurekamag--com · 7 years
Text
Plasmodium spp.: dispersion of malarial oocyst populations in Anopheline and Culicine mosquitoes
http://dlvr.it/Ns7SHy
0 notes
eurekamag--com · 7 years
Text
Fine structure of antennal sensilla coeloconica of Culicine mosquitoes
http://dlvr.it/Ncnw3W
0 notes